옵시디언은 Shida Li와 Erica Xu에 의해 개발된 현대적이고 다기능적인 노트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 앱의 개발은 버전 관리와 구문 강조 표시를 포함한, 보다 진보된 노트 필기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특히, 옵시디언은 로컬 우선 방식으로 설계되어 확장성이 뛰어나며, 노트 간의 연결을 통해 정보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옵시디언의 핵심 아이디어는 프로그래머들 사이에서 수십 년 동안 사용되어 온 기능들을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옵시디언을 특별하게 만들지만, 동시에 새로운 사용자에게는 다소 낯설고 어려울 수 있는 측면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옵시디언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만의 지식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보관소(Vault)는 로컬 파일 시스템에 있는 폴더로, 옵시디언이 노트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모든 노트를 하나의 볼트에 보관하거나 각기 다른 프로젝트마다 여러 개의 볼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각 Vault는 독립적인 공간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습니다. 노트, 설정, 테마, 플러그인을 각각 설정해줘야합니다.
다수의 Vault를 만드는 것이 좋은가요? 서로 공유가 되지않고 링크를 할 수 없다는 단점 때문에 1개의 Vault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단점을 해결한 Vault내의 Vault가 존재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상위 Vault에서 하위 Vault의 노트를 열람을 할 수 있으며, 하위 vault만 따로 동기화를 할 수도 있습니다.
다수의 Vault를 사용할 때 설정을 동일하게 하고싶어요. 설정, 테마, 플러그인 설정이 들어있는 .obsidian 폴더를 복사해 붙여넣기 하세요.
보관소(Vault) 만드는 방법
옵시디언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 후 앱을 열면, 가장 먼저 새 Vault 생성하라는 요청을 받게 됩니다. Create를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Vault의 이름과 위치를 지정하고 Create을 클릭해 Vault 생성을 완료합니다.
새 Vault 만들기
리본 바에서 Open another vault를 클릭합니다.
새창에서 Create을 클릭해 위와 같은 방식으로 새 Vault를 만들어줍니다.
기존 Vault 열기
리본 바에서 Open another vault를 클릭합니다.
새창에서 기존 Vault를 클릭합니다.
옵시디언을 다시 시작하는 방법
옵시디언의 모든 창을 직접 닫습니다.
명령어 커맨드(Ctrl/Cmd + P)를 열어, 명령 창에서 Reload Obsidian을 입력합니다.
옵시디언에서 설정을 변경하거나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에는 변경사항이 적용되려면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 경우, 위 방법으로 옵시디언을 재시작해줍니다.
숨겨진 폴더를 보는 방법 옵시디언 테마, CSS 스타일 Snippet, 플러그인은 모두 .obsidian 폴더안에 있습니다. Windows: 탐색기에서 폴더 옵션을 직접 수정하여 숨겨진 파일을 표시합니다. macOS: Command+Shift+.를 눌러 Finder에 폴더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 모드 활성화하는 방법 Windows: Ctrl + Shitf + i macOS: Cmd + Option + i
옵시디언 라이선스
옵시디언을 개인적으로 사용하거나 소규모 조직, 비영리 조직에 속해 있는 경우 무료 라이선스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반면, 더 큰 조직이나 기업에서 옵시디언을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업적 사용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합니다. Catalyst 라이선스는 추가 기능과 혜택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옵시디언(Obsidian)에서는 마크다운(Markdown)을 기본 문법으로 사용합니다. 마크다운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로, 간단한 문법을 사용하여 웹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마크다운 문서는 HTML로 쉽게 변환되어 웹과 다양한 플랫폼에서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헤딩(Heading)
Heading(제목)을 만들려면, 간단히 #을 입력하고 그 뒤에 제목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의 개수로 헤딩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마크다운이 익숙치 않다면? 텍스트를 쉽게 편집하고 마크다운을 간단히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Editing Toolbar, cMenu 플러그인을 사용합니다.
노트 연결 방법
폴더
옵시디언에서 폴더는 정보의 체계적 관리와 접근성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프로젝트같은 구체적인 기간과 단계를 요구하는 작업에 있어, 폴더를 활용함으로써 각 프로젝트를 조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기 작성, 일정 관리, 금전 관리 같은 개인정보를 담고 있는 노트는 다른노트와 완전히 구분을 지을 수있어 각각의 작업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고, 전반적인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노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데이터, 스크립트 파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리소스 관리에도 폴더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리소스들은 옵시디언 내에서 노트와 링크로 연결할 수 있어, 폴더 구조 내에서 직접적으로 탐색하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링크
링크는 옵시디언에서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로, 온라인 링크의 유용함을 개인 노트에 적용함으로써 그 가치를 극대화합니다. 노트를 유기적으로 서로 연결해 정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주며, 폴더나 태그보다 훨씬 유연하고 강력한 정보 구조를 가능하게 합니다.
옵시디언에서 노트를 연결은 위키링크([[노트 링크]])와 마크다운 링크([제목](노트 링크))를 사용하여 직관적이고 손쉽게 이루어집니다. 위키링크 방식은 사용자가 [[를 입력할 때 자동완성 기능을 통해 기존 노트를 빠르게 찾아 연결할 수 있게 해줍니다.
노트 간의 링크는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동적으로 구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를 통해 정보를 직관적으로 탐색하고 조직화할 수 있으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때로는 더 넓은 관점에서 정보 구조와 흐름 이해하고 관리하는 추가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
태그
태그와 노트 연결 방식은 정보의 조직화 및 검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태그를 통해 노트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노트에 동일한 태그가 부여되면, 해당 태그의 유용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라는 태그가 10개의 노트에 적용될 때는 유용하지만, 100개, 1000의 노트에 적용되면 그 의미를 잃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는 여러 태그를 조합하여 검색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검색 범위를 좁히고 더 관련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접근법은 사용자가 적용한 모든 태그를 기억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태그를 잊어버리는 경우 중복 태그이나 노트 조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옵시디언에서 링크는 아웃링크와 백링크 두가지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위키링크([[]]), 마크다운링크([]())를 하는 것을 아웃링크라고 합니다. 백링크는 특정 문서에서 다른 문서를 아웃링크로 언급되었을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링크입니다.
예를 들면 A라는 노트에서 [[B]], [[C]], [[D]]를 링크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럼 B, C, D 노트에서는 A로 백링크를 자동으로 가지게 됩니다. B, C, D 노트에서 백링크 확인을 해보면 아래 사진처럼 출력이 됩니다.
사이드바의 백링크 패널
현재 문서에서 다른 문서연결을 볼 수있는 백링크 패널은 사이드 바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노트 하단에서 백링크 패널
사이드 바 외 노트 하단에서 백링크 패널을 확인가능합니다. 노트 메뉴에서 backlinks in document를 클릭하거나 백링크 코어 플러그인 설정에서 backlink in document 를 활성화합니다.
그래프 뷰
그래프 뷰는 노트간 연결 구조를 시각화해주는 코어 플러그인입니다. 노트의 수가 적을 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노트 수가 너무 많아지면 효용성이 떨어지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그럴 땐 그룹화, 필터링을 이용해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 로컬 그래프를 이용해 현재 보고있는 노트의 연결상태만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연결선이 표시되지 않는 노트? 그래프 뷰에서 연결선이 표시되지 않는 노트는 다른 노트와 링크로 연결되지 않은 노트입니다. 이 경우와는 다르게 전체 노트의 연결선이 보이지 않는다면 설치한 플러그인이나 테마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노트 정리 방법
노트를 정리하는 방법론은 다양하지만, 모든 방법의 핵심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모으고, 분류하고, 정리하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 원칙을 근간으로, 각 방법론은 개인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유한 체계와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주요 노트 정리 방법론에 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
MOC (Master of Content)
MOC이란?
MOC는, 복잡한 정보와 아이디어의 네트워크를 시각적으로 구조화하고 탐색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MOC는 주로 다른 노트에 대한 링크를 집약하여 해당 주제나 프로젝트에 대한 중심점 역할을 하며, 특정 주제에 관한 세부 정보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합니다.
MOC의 구현 방법
주제별 분류: MOC는 특정 주제 또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노트들을 중심으로 조직화됩니다. 각 주제에 대해 별도의 MOC를 생성하여 관련 노트를 링크하고, 이를 통해 더 광범위한 주제의 하위 구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링크 사용: 노트 간의 연결은 링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사용자는 링크를 통해 관련 노트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 MOC: 여러 하위 주제의 MOC를 서로 연결하여 한 단계 높은 수준의 마스터 MOC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전체 구조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MOC의 장점
쉬운 접근성: MOC를 통해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구조적 사고 촉진: 주제별로 정보를 조직화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사고와 학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유연성: MOC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쉽게 조정 및 확장이 가능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정보와 지식 구조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PARA 방법은 Tiago Forte에 의해 대중화된 정보 조직화 시스템으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작업 및 학습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프로젝트(Project), 책임 영역(Areas of Responsibility), 참조(Resources), 아카이브(Archive)의 네 가지 주요 범주로 정보를 분류합니다.
PARA의 구현 방법
Project: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으로, 종료 날짜가 있는 노트를 분류합니다.
Area: 지속적인 관리와 주의가 필요한, 종료 날짜가 없는 노트를 분류합니다.
Resources: 프로젝트 수행이나 책임 영역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 데이터, 자료 등을 포함합니다.
Archive: 현재 활용되지 않지만 나중에 필요할 수 있는 정보나 문서를 보관합니다.
PARA의 장점
정보의 명확한 분류: PARA는 정보를 네 가지 명확한 범주로 분류함으로써 정보 검색 시간을 단축하고, 필요한 정보에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유연성과 확장성: 사용자의 필요와 환경 변화에 따라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프로젝트와 책임 영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생산성 향상: 체계적인 정보 관리를 통해 작업과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요한 활동에 더 많은 시간과 주의를 집중할 수 있습니다.
설정 - Files and links -Default location for new notes에서 새 노트의 생성 위치를 변경합니다.
파일 복구
파일 복구 기능은 노트 내용이 삭제되거나 저장되지 않았을 때 노트를 특정 시점으로 복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능입니다. 노트의 스냅샷을 정기적으로 저장하여 우발적인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데이터 손실로부터 복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활성화
파일 복구 기능을 사용할려면 먼저 설정 - Core Plugin에서 File recovery 기능을 활성화 해줍니다.
설정
Snapshot interval: 스냅샷을 저장하는 간격을 설정합니다.(기본값: 5분)
History length: 기록 보관하는 일 수를 설정합니다(기본값 7일)
Snapshots: 저장된 스냅샷을 볼 수 있고, 복원할 수 있습니다.
Clear history: 기록된 스냅샷을 삭제합니다.
삭제된 파일
기본적으로 삭제된 파일은 시스템 휴지통으로 보내집니다. 시스템에서 삭제된 파일을 복구 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을 변경할려면, 설정 - Files and links - Deleted files에서 Move to Obsidian trash로 변경해 줍니다. 이제부터 삭제된 파일은 옵시디언 vault내 .trash폴더로 이동하게됩니다. Trash Explorer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trash폴더내 파일을 삭제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Properties)는 문서에 대한 추가 정보, 즉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마크다운 문서에 문서의 제목, 작성일, 태그, 저자 등과 같은 중요 정보를 포함시켜 문서의 관리 및 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문서에 대한 풍부한 컨텍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퍼티 시스템은 문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메타데이터를 통한 노트의 분류 및 검색은 노트를 더욱 체계적으로 조직할 수 있게 하며, Dataview 같은 플러그인을 통한 메타데이터의 활용은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노트에 다른이름을 설정하고 싶어요. 프로퍼티의 aliases 키를 이용해 노트에 여러 이름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링크)
프로퍼티 삭제는 어떻게 하나요? 코어 플러그인인 프로퍼티 뷰에서 타입 편집, 삭제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노트 가져오기
외부 노트앱에서
노션, 에버노트등 외부 노트앱에서 노트를 가져오고 싶으시면 Importer 플러그인을 사용합니다